감각 Sensation
-랭보(A. Rimbaud) 몽상가적 보헤미안, 자연과 혼연일체
푸른 여름밤 석양녘에 나는 오솔길을 가리라,
밀잎에 찔리고 잔풀을 밟으며
몽상가가 되어 발밑으로 그 신선함을 느끼리.
들바람은 저절로 내 맨머리를 씻겨주겠지.
Par les soirs bleus d'été, j'irai dans les sentiers,
Picoté par les blés, fouler l'herbe menue:
Rêveur, j'en sentirai la fraîcheur à mes pieds.
Je laisserai le vent baigner ma tête nue.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아무 생각도 하지 않으리.
하지만 한없는 사랑은 내 영혼에서 피어오르리니,
나는 멀리 멀리 가리라, 보헤미안처럼,
자연 속으로, 여인과 함께 가듯 행복하게
Je ne parlerai pas, je ne penserai rien:
Mais l'amour infini me montera dans l'âme,
Et j'irai loin, bien loin, comme un bohémien,
Par la Nature, - heureux comme avec une femme
문태준 시인 해설
랭보(1854~1891)는 사물에 대해 특유의 새로움과 놀라움의 시적 상상을 보여주었던 시인이었다. 이 시에서는 자연 속으로 걸어 들어가는 여름 저녁의 느낌을 매우 부드럽고 연한 언어를 통해 말하고 있다. 생명들의 싱싱함과 산뜻함을 온몸으로 한껏 받으며 걷는 행복함을 사랑하는 상대를 향한 감정에 빗대어 말하고 있다.
랭보는 새벽 산책의 느낌에 대해서도 “신선하고 흐릿한 빛으로 가득한 오솔길에서, 첫 번째 모험은 나에게 이름을 말하는 꽃이었다. // "나는 전나무들 사이에서 머리를 헝클어뜨린 금발의 폭포를 보고 웃었다”라고 썼다. 베일에 싸인 자연의 신비를 구체적으로 감각하는 시인의 예민하고 빼어난 능력이 놀랍기만하다
시의 시간, 마음의 여유를 가지는 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