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희랍어 시간 맨 마지막 시 나는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은다. - 희랍어시간 맨 마지막 장(시)혀끝으로 아랫입술을 축인다.가슴 앞에 모은 두 손이 조용히, 빠르게 뒤치럭거린다.두 눈꺼풀이 떨린다. 곤충들이 세차게 맞비비는 겹날개처럼.금세 다시 말라버린 입술을 연다.끈질기게, 더 깊게 숨을 들이마셨다 내쉰다.마침내 첫 음절을 발음하는 순간, 힘주어 눈을 감았다 뜬다.눈을 뜨면 모든 것이 사라져 있을 것을 각오하듯이. 기성시 2025.01.19
[한강] 고통이 구원 한강 "인생은 심연 위로 구부러진 거미줄이며, 우리는 가면을 쓴 곡예사처럼 그 위에서 살아간다" - 한강 가장 여성적인 작가이기에가장 세계적인 작가가 되다광주와 제주의 상처와 고통도그녀의 글이 닿으면구원받고 해방되는 길이 열린다 그녀는 죽고 싶어도죽을 수 없었다써야 할 이야기가 너무나 많았기에 주검마저도 살로 바꾸는그녀의 에로티시즘은세계 문학에서 정상급을 달리다 롤랑 바르트가 한 말폐부 찌른다는 '푼크툼(Puncktum)'그런 탁월한 언어 구사로 빛났다 365일 감옥 같은 한국에서작은 숨구멍 내면서묵은 한숨과 답답함을 쓸어낸다 각고의 노력으로쉼 없는 갈고닦음으로세계 최고 문화수출품을 생산하다 소곤거리는 목소리잔잔한 미소소녀 같은 긴 머리 덮인그녀의 눈빛은그윽하고 신비하다 그리움마저도뛰어 넘는 글에 대한타.. 자작시 2024.10.18
나에게도 고향이 있는 것 같다 이청준소설가 생가 작가의 방 이청준 소설가의 생가 장흥에서 살고 있는 소설가 한승원과 그의 따님 소설가 한강 추도사를 하는 소설가 한승원 소설가 이청준의 영정 이청준 소설가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온 문상객들 나는 서울에서 태어나 어려서 마산에서 좀 자랐지만 나에게도 고향이 있는 것 .. 카테고리 없음 2008.08.04